주식 초고수는 지금
4대 신사업 수주목표 '눈앞' 두산에너빌리 관심 '쑥'
국내증시
2022.05.17
11:14:08
미래에셋증권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17일 오전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두산에너빌리티(034020)로 집계됐다. 한탑, HLB생명과학(067630), 코스모신소재(005070), HMM(011200) 등도 매수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날 미래에셋엠클럽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간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두산에너빌리티로 조사됐다. 투
-
[표]아시아 주요 증시 동향(5월 17일)
해외증시 2022.05.17 19:12:11 -
장 마감 후 기업공시[5월 17일]
국내증시 2022.05.17 18:52:29<유가증권> ▲미원홀딩스(107590)=14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NH올원리츠(400760)=한화저축은행 외 2인에서 이지스자산운용으로 최대주주 변경 ▲GS건설(006360)=한강맨션아파트 6224억 원 규모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수주 ▲효성화학(298000)=중국 나일론필름 계열사 256억 원에 현금 취득 ▲대양금속(009190)=120억 원 규모 국내사모 전환사채 발행 결정 ▲센트럴인사이트(012600)=스마크 ATM시스템과 14억 원 규모 ATM 공급계약 ▲제주항공(089590)=870억 원 규모 무보증 사모 채권형 신종 -
금융감독원, 증권사에 내부통제 시스템 점검 지시
정책 2022.05.17 18:40:02금융감독원이 증권사에 신탁재산이 실재하는지와 내부통제 시스템 실태 조사를 지시했다. 우리은행 발 횡령 사고 여파가 증권가에도 미친 것이다. 17일 금감원은 지난 12일 전 증권사에 ‘신탁재산의 실재성 및 내부통제 점검’이라는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허술하게 관리되는 신탁재산이 없는지 확인하고 내부통제 시스템에는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차원이다”고 설명했다. 이번 검사는 증권사가 자체로 검사하고 결과를 금감원에 알리는 식으로 진행된다. 금감원 조사 인력이 현장에 투입되지 않는 만큼 강제성은 낮은 편이다. 자체 -
[표]유가증권·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5월 17일-최종치)
국내증시 2022.05.17 18:11:27 -
트리플 악재에도…'해외 ETF' 한달새 7700억 몰렸다
종목·투자전략 2022.05.17 18:10:39물가·금리·전쟁의 ‘트리플’ 악재로 주식시장의 매수세가 전반적으로 위축됐지만 미국 나스닥 등 해외 시장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는 한 달 새 7700억 원의 뭉칫돈이 몰렸다. 같은 기간 국내 증시에 투자하는 ETF에서 2911억 원이 빠져나간 것과 대조적이다. 움츠러든 국내 투자와 달리 해외 자산에 대한 투자 수요가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해외 ETF 상품의 순자산(AUM)은 약 10개월 만에 2배 이상 커진 21조 원 규모로 성장했다. 17일 펀드 평가사인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코스피에 상장된 해외 -
[표]코스닥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5월 17일-최종치)
종목·투자전략 2022.05.17 18:10:18 -
[표]유가증권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5월 17일-최종치)
종목·투자전략 2022.05.17 18:09:49 -
'UBS' 떼는 하나운용, 신한운용처럼 도약하나
증권일반 2022.05.17 18:08:48하나UBS자산운용이 이르면 7월 ‘UBS’를 떼고 하나자산운용으로 다시 태어난다. 2017년 하나금융투자가 하나UBS자산운용의 잔여 지분을 인수해 지분 100%를 확보하겠다고 밝힌 지 5년 만이다. 이제 눈길이 쏠리는 것은 하나자산운용의 향후 행보다. 앞서 BNP파리바와 결발한 신한자산운용은 합작사 시절에는 시도하지 못했던 상장지수펀드(ETF) 등 리테일 맞춤형 상품 확대로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17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하나UBS자산운용의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를 진행 중이다. 금감원의 -
미래에셋증권, 광운학원에 금융교육 지원
국내증시 2022.05.17 18:07:02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이종환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발행 ·편집인 : 이종환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